-
“여보 집 내놓자” 1주택자마저···집값 오르는데 왜?경제 이야기 2023. 9. 19. 09:00반응형반응형
관련기사 :
“여보 집 내놓자” 1주택자마저···집값 오르는데 왜?
서울 아파트 매물 추이 “연초 대비 45% 상승” 1주택자 중심의 ‘갈아타기’ 수요 영향 커 집을 내놓는 전국 아파트 매물이 급증하고 있다. 집값이 상승세로 들어서면서 더 오르기 전에 원하는
www.msn.com
기사해제 :
서울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고금리, 고물가와 고유가 상황에서도 집값이 오르는 추세가 이어지는 곳이 있습니다. 대개 1주택자 중심의 ‘갈아타기’ 수요의 영향으로 보입니다.
하락하는 부동산의 연착륙을 위해 정부가 각종 규제 완화와 대출 완화로 매물을 내놓다가 다시 거두어들이기를 반복하면서 부동산 시장의 자체적 가격 조정은 어렵게 되고 있습니다.
이 와중에 집값이 상승세로 들어설 때 더 오르기 전에 원하는 집으로 옮기려는 ‘갈아타기’ 수요가 많아지는 추세가 보입니다. 하락장 속에서 그나마 집값 상승의 여지가 있어 보이는 곳으로 옮기려는 모습입니다.
서울 아파트 매물 수가 7만 건을 넘긴 건 2020년 9월 이래 처음 있는 일이고, 서울뿐 아니라 지방 역시 매도 물량이 상승세를 보였는데, 최근 한 달 새 가장 많이 증가한 지역은 광주광역시이고, 이어 전남, 경남, 제주로 서울보다 높은 증가 폭을 보였습니다.
가계 여력이 되는 사람들이 현재의 집을 팔고 더 좋은 집으로 이사를 하는 움직임이 거래의 활성화로 비치면서 집값을 견인하고 있고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추세입니다.
결국, 앞으로 집값 상승이 있을 것이라 기대하는 곳의 공급은 적고 수요는 많아지면서 가격 상승이 일어난다는 점에서 부동산 투자를 생각하고 있다면 생각해 볼 여지가 있습니다.
고물가로 실질 소득이 줄어들고 가계 소비 여력도 줄어드는 시기에 양질의 옥석을 가려 재테크를 하는 방법도 어찌 보면 합리적 경제활동의 하나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거품이 붕괴하면서 잃어버린 30년으로 힘들어하는 일본이지만, 직주근접의 도시 중심지와 역세권 집값은 여전히 높다는 점은 사람의 욕구가 소비를 만들어낸다는 점을 알려주는 대목입니다.
여기저기서 들리는 각종 부동산 정보에 대해서는 비판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정부의 부동산 대책의 흐름을 잘 읽으면서 갈아타고자 하는 곳이 있다면 그곳을 찾아 직접 임장하면서 부동산 시장을 읽는 안목을 늘리시기 바랍니다.
반응형'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출산으로 부동산은 결국 폭락한다고? 그렇지만은 않다. (0) 2023.10.17 "민간부채 증가폭 세계 1위"…IMF도 '빚더미' 한국에 경고 (0) 2023.10.12 “동탄 아파트가 20억 원?”…신고가 속출하는 동탄 부동산, 왜? (0) 2023.09.28 2~3년 뒤 집값 뛸라…추석 전 공급대책 나온다, 내용은? (0) 2023.09.14 '교통호재' 기대감…동탄2신도시 집값·거래량 동반 회복 (0) 2023.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