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토피 환자, 발병 연령층 다양해져…피부질환 2023. 7. 10. 09:00반응형반응형
관련기사 :
[건강 365] 아토피 환자, 발병 연령층 다양해져 - 교수신문
아토피는 한번 발병하면 환자에게 극심한 고통과 함께 장기간 재발하는 문제를 겪게 한다. 과거에는 유아기에 발병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점차 성인기가 되어 새롭게 발병하는 경우가 늘어나
www.kyosu.net
기사해제 :
아토피 피부염은 면역의 관용이 좁아지면 누구든지 발병할 수 있습니다. 어린 소아부터 성인까지 스펙트럼은 넓습니다. 단지, 차이가 있다면 발달과 성장이 남아 있는 아이들은 성장하면서 면역의 관용이 넓어지면서 면역계의 안정이 찾아 재발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정도로 완치 수준에 다다르지만, 성인의 경우 그렇지 않다는 것입니다.
관리하면서 생활할 수밖에 없습니다. 왜 면역의 관용이 좁아지면서 자가면역이 발생하는지 그 이유를 알 수가 없습니다. 즉, 환자든 환자 보호자든 자책할 필요가 없습니다.
건선이나 한포진도 자가면역 피부질환입니다. 그래서 치료가 어렵습니다. 아토피 피부염도 시작부터 아토피 피부염이 되는 예도 있지만, 대개 습진, 지루피부염, 단순발진, 피부건조와 가려움증, 피부묘기증 등이었다가 올바른 치료가 제때 이루어지지 않거나 불필요한 치료가 진행하면서 원인 불명의 피부염으로 진행해 아토피 피부염이 되는 예가 많습니다.
어떤 질환이든 만성화되면 면역계가 관여하면서 만성염증의 형태로 진행하게 됩니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갑상선기능저하증, 비만 등 대사성질환이 그렇습니다.
자가면역은 내 몸의 면역이 사소한 자극에 반응하면서 극심한 염증반응을 나에게 일으키는 현상입니다. 알레르기 소인이 있어 알레르기 비염, 알레르기 천식, 과민성 장을 함께 있는 예가 많고, 자가면역 소인이 장기간 지속하면 류머티스성관절염, 류머티스성다발근통, 크론병, 베체트병, 루푸스, 섬유근통증 등 희소병도 병발하는 예가 종종 있습니다.
여름에는 관절 굴곡부를 중심으로 진물과 가려움증이 심하고 겨울에는 하얗게 피부를 덮는 각질과 피부가 메말라 갈라져 피가 나는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어떤 피부질환이든 긁지만 않으면 호전 없이 정체되는 때가 있어도 악화하지 않습니다. 그 가려움증을 관리하지 못하면 호전과 악화는 반복되면서 체내 기력도 소진하면서 우울증까지 생기게 됩니다.
체내 면역을 억제하게 되면 면역은 더욱 불안정해지면서 민감도는 더욱 올라갈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고 억제력이 강한 약을 찾을수록 악순환의 고리는 만들어지고 사소한 자극에 반응하기 더욱더 쉽게 됩니다.
면역계를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불안정 면역을 안정시킬 수 있는 치료가 돼야 합니다. 아이가 태어나 스스로 밥을 먹을 때까지 계속 떠 먹여줄 수밖에 없고 먹여주다 보면 밥과 반찬을 옷에 많이 흘릴 수밖에 없습니다.
나이가 어떻든 성별이 어떻든 아토피 피부염이 있다면 체내 면역은 갓 태어난 아이들의 면역과 다를 바 없을 정도로 취약해져 있어 시간을 통해 체내 면역이 올바르게 작동하도록 만들어줘야 합니다.
이런 생각 없이는 어떤 병·의원에 가서 치료를 받아본들 희망고문에 사로잡혀 반복되는 호전과 악화에 몸과 마음이 점점 지쳐갈 수 있습니다.
아토피 피부염은 완치가 아니고 관리이고 아이가 스스로 걸을 때까지 무수히 넘어지는 과정이 있듯이 치료 과정에서 호전과 악화는 무수히 반복될 것이라고 당연하게 받아들여야 그때부터 올바른 치료가 진행될 것입니다.
아토피 피부염에서 보습제가 필요한 단계가 있습니다. 급성 증상기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주위에 누가 어떤 보습제를 발라 좋아졌다느니 어떤 제품을 써서 좋아졌다느니 하는 말에 마음이 혹해 사서 써보지만 생각하는 만큼 큰 효과는 매번 보지 못했을 것입니다.
자가면역 피부질환은 참 어렵습니다.
하지만, 관리하면 잘하면 그런대로 생활의 큰 불편함 없이 살아갈 수 있습니다.
[만성난치] 만성 두드러기, 알레르기, 가려움증 한약치료 사례 모음
환자들의 구체적인 치료사례와 후기는 블로그 ‘서로이웃’이신 분만 읽을 수 있습니다. 치료사례가 궁금하...
blog.naver.com
반응형'피부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루성 피부염'이란? 피지 분비의 기능장애 (0) 2023.07.17 화폐상 습진 (0) 2023.07.12 얼굴가려움, 각질의 계절… 꼭 제거해야 한다면? (0) 2023.06.14 주부습진, 손가락습진, 지루성피부염 등 습진 질환, 치료 및 예방법은? (0) 2023.06.12 피부가려움, '참을 수 없는 가려움'… 건선, 완치 희망 갖고 장기적 치료해야… (0) 2023.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