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형반응형
관련기사 :
화폐상 습진 - 한의(韓醫) 치료
이동효 우석대 부속한방병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교수 화폐상 습진은 비교적 경계가 명확한 동전 모양의 습진성 피부 질환이다. 임상적으로 가려움증, 홍반, 인설, 구진, 수포, 진물 등의 증
www.jjan.kr
기사해제 :
화폐상 습진은 비교적 경계가 명확한 동전 모양의 습진성 피부 질환입니다. 염증 부위에는 물집이 잡히면서 가려움증이 있어 긁게 되면 세균성 면역이 작용하면서 딱지가 생기는데 이런 과정이 반복하면 피부각질층이 두꺼워지는 태선화가 이루어집니다.
또한, 피부보습능력이 떨어져 피부가 갈라지면서 피가 나는 예도 있습니다.
급성 바이러스 감염이 아닌 이상 자가치료에 의해 만성이 되기 쉽고 병·의원을 찾을 때 즈음이면 반복되는 진물과 가려움증으로 피부는 만신창이가 돼 있는 예가 많습니다.
주로 손등이나 발등, 무릎 아래쪽에 발생한다고 하지만 전신 어디든 발병할 수 있고 만성이 될수록 자가면역의 성격을 띠기에 치료가 어렵고 재발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건선과 비슷해 초기에 감별이 어려울 수 있으나 건선은 알레르기가 끼지 않는 한 가려움이 거의 없고 수포와 같은 물집이 잡히지 않습니다. 하지만 건선 부위에 일어나는 각질을 제거하기 위해 긁어내거나 각질제거 제품을 쓰면 쾨브너현상으로 염증이 심해지면서 도리어 각질 생성이 많아져 증상이 심해집니다.
어떤 피부질환이든 초기에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예가 많아 감별은 쉽지 않습니다. 이때 강력한 면역 억제제를 쓰게 되면 증상은 호전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머지않아 피부반발은 심해지고 점점 더 강한 면역억제제를 남용하게 돼 아토피 형태로 진행하게 됩니다.
피부는 영양기관이 아닌 배설기관임에도 피부에 온갖 좋은 값비싼 제품을 바르면서 피부운동능력이 떨어져 땀도 잘 안 나는 상태에서 시간이 갈수록 피부는 좋아지는 것이 아니라 색소침착과 함께 예민해지는 모습을 많이 관찰하게 됩니다.
또한, 치료의 호전이 잘 진행된다 해도 치료자 관점에서 치료종결을 하기보다는 환자 관점에서 치료종결을 하는 예가 많아 1~2년이 지나 다시 찾아오는 예가 많습니다.
어떤 질환이든 만성이 될수록 우울증은 당연히 생기게 됩니다. 아픈 몸이 마음마저 병들게 하기 때문입니다. 피부질환은 더욱더 그렇습니다.
환자에게 진단은 무엇보다 중요할 수 있지만, 치료자의 입장에서는 진단명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피부질환은 시간이 지날수록 계속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처음에 습진이라고 앞으로도 습진이 아니기에 현 상태에서 피부가 보여주는 상태를 잘 파악해 진행하는 것을 막고 호전하도록 치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귀에 딱지가 앉게 들었던 건강한 식습관, 생체리듬에 맞는 생활습관과 규칙적인 운동이 왜 필요한지, 현재의 몸 상태가 어떤지 그래서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올바른 이해 없이는 언제든 좋아졌던 피부는 뒤집힐 수 있고 생활의 불편함은 언제든 나의 몫이 될 것입니다.
[만성난치] 만성 두드러기, 알레르기, 가려움증 한약치료 사례 모음
환자들의 구체적인 치료사례와 후기는 블로그 ‘서로이웃’이신 분만 읽을 수 있습니다. 치료사례가 궁금하...
blog.naver.com
반응형'피부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끈지끈 편두통, 이 질환 환자에게 더 흔해… (0) 2023.07.19 '지루성 피부염'이란? 피지 분비의 기능장애 (0) 2023.07.17 아토피 환자, 발병 연령층 다양해져… (0) 2023.07.10 얼굴가려움, 각질의 계절… 꼭 제거해야 한다면? (0) 2023.06.14 주부습진, 손가락습진, 지루성피부염 등 습진 질환, 치료 및 예방법은? (0) 2023.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