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탄·화성능동·병점·오산 화병 한의원 : 억울하고 분해서 드러눕는 화병… 걷기·명상 등 도움여성건강 2024. 1. 24. 09:00반응형반응형
관련기사 :
억울하고 분해서 드러눕는 화병… 걷기·명상 등 도움
만성적 스트레스 혹은 일시적인 스트레스이지만 제대로 해소하지 못해 생기는 각종 정신적 증상, 신경증, 신체질환을 통틀어서 ‘화병(火病)’이라고 한다. 해외에서는 화병을 ‘분노증후군‘
www.segye.com
기사해제 :
몸이 완충할 수 없는 과도한 스트레스가 지속하면 우리 몸에 병이 생기게 됩니다. 특히, 억울하고 분해서 생기는 감정으로 누구한테 호소할 수 없을 때 더더욱 그렇습니다.
사회, 직장, 가정 등 위아래의 수직관계가 만들어지는 곳에서 생기는 갑질 때문에 그럴 수 있고, 사기와 파산, 부도 등의 경제적 관계에서 많이 나타나며, 위선과 거짓에서 오는 가정이나 종교 생활에서 나타나기도 합니다.
언제 어디서든 죽고 싶을 만큼 싫고, 피하고 싶지만 피할 수 없고 온전히 다 받아내야 할 때 마음의 병이 몸으로 드러나는 질병이 ‘화병(火病)’입니다.
서양에서 말하는 우울증이나 분노증후군은 정신 증상에 초점을 두고 치료지만, 화병은 정신 증상과 함께 신체화 증상이 강하게 나타나는 한국 특유의 질환으로 인식돼 ‘Hwa-byung’이라고 표기할 만큼 독특한 발병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사회를 이루는 개인을 어떻고 보고 그 개인의 사적 영역을 어디까지 존중해줄 것인가에 대한 사회적 합의에서 화병은 접근해야 합니다. 우리나라는 만나면 나이를 묻고 어느 대학을 나와 어디서 일하고 어디서 사는지 등 상대방에게 질문하는 내용은 서양에서는 실례를 넘는 개인의 사적 영역을 침범하면서 사로 공유하고자 합니다.
그러다 보면 존중받아야 할 개인의 사적 영역이 무너지면서 상대방에게 쉽게 상처 주는 모든 것이 ‘우리’라는 이름으로 당연하게 생각하게 됩니다. 지금은 그래도 전 세대보다 더 자유롭고 개인적인 삶을 살아간다고 말하면서, ‘나 때는…’말로 자랑인지 실망인지 알 수 없는 문구를 써 가면서 과거에 대한 향수를 느끼는 사람도 있습니다.
SNS가 발달하기 전에는 비교와 경쟁의 대상이 ‘우리 엄마 친구 아들이나 딸’이 전부여서 가정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컸다고 할 수 있지만, 지금은 SNS를 통해 폭넓은 비교와 경쟁을 하면서 가정보다는 사회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커졌습니다.
그러다 보니 심해지는 빈부격차와 양극화, 불공정, 불평등 등으로 상대적 박탈감이 전 연령과 성별로 나타나게 됩니다. 결국, 과거에 시집살이 고되게 하면서 살았던 한(恨) 많은 중장년의 여성이 참아야만 했고 그래서 가졌던 ‘화병’이 지금은 온 국민이 불의(不義), 불평등(不平等), 불공정(不公正) 앞에 정직하게 성실하게 살아가는 노력을 왜곡하는 사회에 대한 반발과 실망에서 오는 질병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닙니다.
화병의 원인은 억울하고 분한 감정입니다. 물론 그런 감정을 가질 수밖에 없는 스트레스가 선행된다 억울하고 분함을 참으면서 살다가 분노가 감정이나 행동으로 폭발하고, 가슴 답답함, 치밀어 오름, 얼굴의 열감 등의 신체 증상이 생활의 질을 떨어뜨릴 정도로 심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만성화되면 스트레스가 반복되거나 혹은 스트레스가 심하지 않거나 없는데도 가슴 답답함과 두근거림 등 이런 신체 증상이 반복되면서 분노의 감정조차 드러나지 않고 무기력에 빠지는 우울증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걷기나 명상 등을 통해 스멀스멀 올라오는 억누른 화(火)가 온몸을 지배하지 않도록 스스로 노력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마음속에 쟁여 놓기 쉬운 분노의 감정을 상대방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전달하는 방법에 대한 학습과 훈련이 필요합니다.
화병(火病)에 있어 가장 먼저 해야 하는 일은 신체로 드러나는 가슴 답답함과 두근거림, 열감, 두통, 불면증 등의 증상을 통합한방치료인 침구치료, 약침치료, 한방물리요법, 추나요법과 한약치료로 다스려 건강한 일상을 되찾을 수 있는 신체적 여력(餘力)을 회복하는 것입니다.
내가 건강하게 살아 주위를 둘러볼 수 있는 여유가 있을 때 비로소 화병(火病)에서 벗어나는 첫걸음을 떼게 됩니다.
[만성난치] 공황장애, 불안장애, 우울증, 불면증, 화병 한약치료 사례 모음
환자들의 구체적인 치료사례와 후기는 블로그 ‘서로이웃’이신 분만 읽을 수 있습니다. 치료사례가 궁금하...
blog.naver.com
반응형'여성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광 망가지는 최악의 생활 습관 vs 좋은 음식은? (1) 2024.01.29 하루 '몇 걸음' 걸어야 건강해질까? 11만 명 조사했더니… (0) 2024.01.26 등산 다녀온 후, 허벅지 아닌 ‘정강이’가 아프다면 꼭 보세요. (1) 2024.01.22 스트레스 받아도 항상 바로 우울하지는 않은 이유, 뇌 속에 있었다? (0) 2024.01.19 달걀의 건강 효과…그리고 잘 먹는 법 (0) 2024.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