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바닥 욱신거리는 족저근막염, 약보다 중요한 건?여성건강 2023. 12. 13. 09:00반응형반응형
관련기사 :
발바닥 욱신거리는 족저근막염, 약보다 중요한 건?
족저근막염은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다행히 다양한 치료법이 있고, 약물 등 보존적 치료의 효과도 좋은 편이다. 그러나 각종 치료법보다 중요한 건 따로 있다. 스트레칭과
www.msn.com
기사해제 :
장시간 서서 일하는 사람에게 잘 생기는 근골격계 통증질환 중 하나가 족저근막염입니다. 종아리 쥐내림이 자주 있다가 발바닥 통증이 생기기도 하는데 증상이 심할 때는 자다가 아파서 깨는 일도 많습니다.
하체의 근육 불균형이나 하체 근육의 긴장으로 신경이 눌리거나 평발이어서 발등의 아치가 낮아지면서 생기도 하는 그 원인 다양합니다. 대개 족저근막염이 있는 분 중 허리가 안 좋은 예도 많습니다. 족저근막염이 있는 엉덩이 근육부터 허벅지, 종아리 근육을 풀어주고 평상시 작업자세애 대한 개선이 있어야 재발이 쉽게 되지 않습니다.
족저근막염은 발바닥 근육을 둘러싼 두꺼운 족저근막에 염증이 생긴 것으로 초기에는 발꿈치 안쪽만 아프다가 발 안쪽을 따라 발 중앙, 발바닥 전체까지 통증이 확산합니다. 아침에 첫발을 내디딜 때 특히 찢어지는 듯 아프고, 통증을 참고 걷다 보면 괜찮아졌다가 다시 아프기를 반복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진통하는 약물 주사나 근육 이완제로는 약 먹을 때 효과는 나타나지만, 근본적인 치료가 되지 않아 재발이 쉽게 이루어집니다. 체형 평가를 통해 문제가 되는 부분을 개선하고 힘을 많이 받는 일상 동작을 분석해 힘의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자세 개선이 돼야 합니다.
족저근막염은 보존적 치료인 통합한방치료로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보존적 치료 방법으로는 침구치료, 약침치료, 한방물리요법, 추나요법과 한약치료가 있는데 꾸준히 치료만 받는다면 좋은 효과를 보게 됩니다.
그러나 간혹 보존적 치료로 효과가 없는 예가 있는데 허리 부위에 문제가 있어 생길 수 있습니다. 허리 영상촬영으로 문제가 되는 분위를 찾아 수술이나 시술이 필요하다면 하는 것이 좋습니다.
족저근막염 치료법으로 스트레칭을 강조하게 되는데 초기에는 효과가 있지만, 바쁜 생활 속에서 몸을 관리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닙니다. 족저근막염 증상이 나타나 스트레칭으로 나아진 경험이 있어 이번에도 스트레칭을 해보지만 스트레칭할 때 아프고 다음 날까지 아프다면 스트레칭은 하지 않는 것이 낫습니다.
뭉친 근육에 근막이 늘어나 아프지만 뭉친 근육이 풀리기보다는 정상 근육이 늘어나 통증이 지속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도수치료인 추나요법으로 하체 근육 뭉침으로 생기는 불균형을 해소하고 침구치료, 약침치료와 한방물리요법으로 혈액순환을 도와 빠른 회복을 기대하는 것이 오히려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이 나을 때까지는 딱딱한 바닥을 걷지 않아야 하기에 실내에 있을 때도 쿠션이 있는 슬리퍼나 푹신한 양말을 신고, 어쩔 수 없이 딱딱한 신발을 신어야 할 땐 푹신한 실리콘 재질의 깔창이라도 까는 것이 좋습니다.
정신없이 바쁘게 살아 병·의원 갈 시간도 없지만, 자다가 종아리가 땅기고 아침에 일어나 한 발짝 걸을 때 통증이 심하게 느껴진다면 없는 시간이라도 시간을 쪼개서 가까운 한의원에 내원해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의 하나가 될 것입니다.
관리도 몸이 어느 정도 나아진 상태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반응형'여성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에 좋은 ‘섬유질’ 섭취, 제대로 늘리려면… (0) 2023.12.20 근심 걱정 많아 보이게 하는 ‘이마 주름’ 예방하려면? (0) 2023.12.15 밥먹을 때 ‘쩝쩝’… 이 소리 유난히 짜증난다면? (1) 2023.12.06 동탄·화성능동·병점·오산 식은땀 한의원 : 그냥 땀이 아니다… ‘식은땀’이 줄줄 나는 이유는? (1) 2023.11.24 "가스 불 껐나?"… 반복적인 확인 행동 ‘이 병’ 의심해야… (0) 2023.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