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단백질 (2) 간에서 단백질 처리할 때 독소가 나온다던데 어떻하죠?여울다이어트 2018. 2. 25. 09:00
단백질의 구조는 아미노산의 사슬 사이의 입체구조를 형성합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각각의 단백질은 고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니게 됩니다. 온도가 높아지면 단백질의 구조를 유지하는 여러 결합들이 깨지며 급격한 pH의 변화는 단백질을 구성하고 있는 분자의 급격한 변화를 초래해 단백질의 특성을 잃어버려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단백질은 다른 영양소인 지방과 탄수화물에 비해 포만감을 가장 빨리 주는 식품이며 그 맛은 ‘감칠맛’으로 표현됩니다. 포만감이 빠른 이유는 소화와 흡수 과정이 느리고 뇌가 좋아하는 당 섭취에 대한 갈망으로 단백질의 식욕을 떨구어 버리기 때문입니다. 단백질은 체내 소화와 흡수되는 과정이 더디면서 그 과정에 간이 관여합니다. 단백질 위주로 식단..
-
단백질 (1) 단백질은 왜 많이 못 먹죠?여울다이어트 2018. 2. 24. 09:00
모든 생물의 몸을 구성하는 수많은 아미노산의 연결체입니다. 생명체의 세포 내 각종 화학반응을 주도하는 기능적 촉매 물질입니다. 즉, 효소나 호르몬으로 사용됩니다. 단백질의 'protein'은 그리스어의 'proteios'라는 '중요한 것'의 의미에서 유래된 것이며 한자 표기인 ‘蛋白質’ 은 독일어 ‘Eiweiβ’를 번역한 것으로 알을 구성하는 흰 부분이라는 뜻입니다. 단백질은 아미노산이라고 단순한 분자들이 연결된 복잡한 분자로 분자량이 매우 큽니다. 아미노산에는 약 20 종류가 있는데, 이 아미노산들이 화학결합을 통해 연결되어 폴리펩티드를 만듭니다. 분자량이 비교적 작으면 폴리펩티드라 하고, 분자량이 크면 단백질이라고 합니다. 단백질은 생체를 구성하고 생체 내의 반응 및 에너지 대사에 참여하는 매우 ..
-
탄수화물 (2) 저열량이지만 포만감이 낮아 많이 먹어요.여울다이어트 2018. 2. 23. 09:00
생물체 내에서의 기능은 생물체의 구성 성분과 활동의 에너지원이 되는 것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구조를 유지하는 데에 사용되는 탄수화물은 모두 다당류입니다.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탄수화물은 지방, 단백질과 함께 생물체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합니다. 다른 영양소인 지방, 단백질에 비해 소화와 흡수 속도 및 에너지 전환 속도가 빠르고 칼로리는 낮지만 많이 먹어 높아집니다. 소화와 흡수 속도가 빠르다 보니 포만감을 주지 못 해 많이 먹게 되며 그에 따라 혈당을 올리게 됩니다. 활동대사량으로 사용되고 남은 칼로리는 간에서 글리코겐으로 전환되어 온몸의 세포에 저장되는데 간과 근육에 많이 저장됩니다. 그렇게 하고도 남은 탄수화물은 중성지방으로 전환되어 복부에 있는 지방세포에 저장되면서 복부 비만이 됩니다. 복..
-
탄수화물 (1) 밥심으로 사십니까?여울다이어트 2018. 2. 22. 09:00
탄소, 수소와 산소의 3원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입니다. 생물체의 구성 성분이거나 에너지원으로 사용됩니다. 동물은 스스로 탄수화물을 합성하지 못하므로 이것을 식물에서 섭취하여 사용합니다. 탄소와 물이 결합된 형태로 탄소의 수화물이라는 뜻에서 탄수화물로 명명되었습니다. 탄수화물은 구성하는 단위가 되는 당의 수에 따라 단당류·소당류·다당류로 구분합니다. 단당류는 한 개의 분자가 가지는 탄소의 수에 따라 다시 삼탄당부터 칠탄당까지 분류되는데 포도당은 탄소수가 여섯 개이기 때문에 육탄당이라 부릅니다. 소당류는 단당류가 2개 결합한 것을 이당류라고 하며, 3개는 삼당류, 4개는 사당류라 부릅니다. 다당류는 수없이 많은 단당류가 연결된 것이며, 분자량은 수천에서 100만을 넘는 것도 있습니다. 당의 수가 적은 것들은..
-
영양소와 칼로리, 어디에 쓰는 물건인고?여울다이어트 2018. 2. 21. 14:27
우리 몸을 구성하고 생리 활성에 도움이 되는 성분을 영양소라고 하고 탄수화물, 지방과 단백질이 있습니다. 그리고 생체에 없어서도 안 되고 부족해서도 안 되는 미량으로 존재하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있고 수분이 있습니다. 비타민은 수용성과 지용성으로 나뉘며 수용성은 물에 잘 녹고 지용성은 지방에 잘 녹습니다. 미네랄은 나트륨(Na), 칼슘(Ca), 칼륨(K), 마그네슘(Mg), 아연(Zn), 철(Fe) 등이 있습니다. 우리 몸에 있는 각종 세포의 분열과 성장에 쓰입니다. 자동차로 치면 자동차를 구성하고 있는 부품들을 말합니다. 우리가 흔히 영양이라는 말로 표현합니다. 각각에 기능에 대해서는 따로 설명하겠습니다. 우리가 하루 음식을 섭취해 필요한 만큼은 활동으로 쓰고 남는 부분은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
-
비만의 분류 (6)여울다이어트 2018. 2. 20. 09:00
비만의 분류는 편의상 비만 원인, 비만 형성 원인, 지방세포의 변화 양상, 축적된 신체 부위, 비만 형성 시기, 복부 비만으로 나누어 분류합니다. (6) 복부비만의 종류 1) 내장지방형 복부비만 : 복부 CT 촬영에 피하지방 대비 내장 지방 비율이 40% 초과 또는 내장 지방의 총면적이 100㎠를 초과한다. 2) 피하지방형 복부비만 : 복부 CT 촬영에 피하지방 대비 내장 지방 비율이 40% 이하 또는 내장 지방의 총면적이 100㎠를 이하이다. 복부비만에 대한 정확한 측정은 CT 촬영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내장지방형 복부비만은 상복부 위주이며 눌러봤을 때 저항감이 있습니다. 대체로 피부는 거친 편이고 손으로 잡으면 잘 잡히지 않습니다. 다이어트를 할 경우 개선되는 부분이 많습니다. 수면 중 코골이가 ..
-
비만의 분류 (5)여울다이어트 2018. 2. 19. 09:00
비만의 분류는 편의상 비만 원인, 비만 형성 원인, 지방세포의 변화 양상, 축적된 신체 부위, 비만 형성 시기, 복부 비만으로 나누어 분류합니다. (5) 비만 형성 시기에 따른 분류 1) 소아 비만 : 사춘기 이전의 비만, 혼합형을 띤다. 복부에서 팔다리로 지방이 축적된다. 2) 청소년 성장기 비만 : 사춘기 이후 성장 종료 시기까지. 중고등학교 기간. 신체 발달에 따른 지방세포의 수나 크기가 소아 비만보다 훨씬 많다. 활동은 적고 오래 앉아 있다 보니 엉덩이 부위와 하체 부위로 지방이 축적이 많이 된다. 3) 20~30대 비만 : 중, 장년기 이전까지. 여성은 호르몬 영향으로 주로 엉덩이, 허벅지, 위팔 뒷부분에 지방 축적되고, 남성은 복부 위주로 지방 축적된다. 4) 산후 비만 : 출산 후 6개월..
-
비만의 분류 (4)여울다이어트 2018. 2. 18. 09:00
비만의 분류는 편의상 비만 원인, 비만 형성 원인, 지방세포의 변화 양상, 축적된 신체 부위, 비만 형성 시기, 복부 비만으로 나누어 분류합니다. (4) 축적된 신체 부위에 따른 분류 1) 중심성 비만 : 복부 2) 말초성 비만 : 엉덩이, 허벅지, 어깨 중심성 비만은 복부비만 위주로 나타납니다. 주로 남성에게 잘 나타나지만 여성은 완경기 이후 호르몬 대사에 의해 나타납니다. 증후성 비만 중 쿠싱증후군에서도 나타납니다. 장기 안에 또는 장기와 장기 사이의 빈 공간 또는 장기와 장기를 구분하는 장간막에 지방이 축적됩니다. 곡류(특히, 밀가루 음식) 의 과다 섭취로 생기는 중성지방이 우세하게 축적됩니다. 말초상 비만은 허벅지, 엉덩이, 어깨, 위팔 뒷부분에 나타납니다. 남성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는 않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