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장 질 좋은 단백질은? 달걀·소고기 아닌 바로 '유청'여성건강 2024. 12. 4. 09:00반응형반응형
관련기사 :
기사해제 :
면역력 강화를 돕는 최고의 단백질은 유청 단백질이라는 전문가 견해가 제시됐는데, 유청은 우유가 엉겨서 응고된 뒤 남은 액체를 말합니다.
최근 서울에서 열린 9차 유청 단백질 포럼에서 ‘진짜 중요한 것은 단백질의 질’이란 주제로 발제한 배재대 식품영양학과 김정현 교수는 유청 단백질이 건강과 근육을 유지하는 데 좋은 이유 5가지를 선정해 발표했습니다.
첫째, 유청 단백질은 류신 등 필수 아미노산을 모두 함유한 완전 단백질인데, 필수 아미노산은 우리 체내에서 합성하지 못해 반드시 음식 등 외부로부터 섭취해야 하는 아미노산을 가리킵니다.
유청 단백질의 원재료인 우유를 비롯해 달걀·육류·생선 등 동물성 식품엔 필수 아미노산이 모두 함유돼 있으나, 콩·밀 등 식물성 식품엔 필수 아미노산 중 하나 이상 부족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둘째, 유청 단백질은 단백질의 질적인 면에서 매우 우수하데, 단백질의 체내에 흡수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인 생물가(BV) 1위가 유청 단백질(104점)입니다. 다음은 달걀 단백질 (100점)·소고기(80점)·케이신(77점)·콩 단백질(74점) 순으로, 생물가가 높을수록 체내에서 단백질이 효과적으로 흡수된다는 의밉니다.
셋째, 유청 단백질은 단백질 품질을 평가하는 생물가나 PDCAAS(Protein Digestibility Corrected Amino Acid Score)보다, 더 정확한 평가 지표인 DIAAS(Digestible indispensable amino acid score)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는데, DIAAS는 2013년 UN 식량농업기구(FAO)가 인정한 단백질의 질 평가 지표로, PDCAAS와 달리 점수의 최대치가 정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DIAAS 지표는 단백질 섭취가 부족할 수 있는 성장기 어린이와 청소년, 노인·영양불량자에게 특히 유용한 평가 지표입니다.
넷째, 유청 단백질엔 근육 단백질 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아미노산인 류신이 다량 함유돼 근육량을 유지하거나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데, 유청 단백질의 류신 함량은 14%이고, 계란 단백질은 9%, 고기 단백질은 8%, 콩 단백질은 8%, 콜라젠은 2%입니다.
다섯째, 유청 단백질은 BCAA(분지 사슬 아미노산, Branched Chain Amino Acids)가 가장 풍부한 단백질로 필수 아미노산 중 근육 단백질 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아미노산이 세 가지 있는데 류신·아이소류신·발린입니다. 이 세 가지를 통틀어 BCAA라 하고, BCAA는 동물성 단백질에 많이 들어있습니다.
영양학적으로 질이 우수한 완전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체중 관리나 근감소증 예방을 위해선 탁월한 선택이라고 설명하면서 하루에 필요한 필수 아미노산의 충분한 섭취를 위해서는 높은 품질의 단백질을 소량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낮은 품질의 단백질을 섭취한다면 많은 양이 필요하고, 높은 열량과 포화지방 섭취를 피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특히 노인은 많은 양의 열량을 섭취하기 어려워 유청 단백질 섭취가 추천하는데, 예를 들어, 단백질 25g을 섭취하는 데 필요한 음식의 양은 분리 유청 단백질(WPI) 1숟갈, 닭가슴살 113g, 저지방 우유 3컵, 달걀 4개입니다.
싸고 좋은 것은 이 세상에 절대 없습니다. 그렇다고 비싸다고 다 좋은 것은 아닙니다. 그래도 비싼 것이 대개 좋습니다. 우리 주위에 흔하게 있어 구하기 쉽다면 가격도 저렴합니다. 영양이 최고가 아니더라도 우수하다면 차라리 그것을 선택하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몸 상태가 따질 것이 많아진다면 그때는 대안이 될 수 있는 식품입니다. 식품은 단지 식품으로 약이 아니기에 건강할 때 병을 예방하고자 먹는 것입니다. 병이 있다면 약을 먹어야 하고 몸 상태에 따라 음식을 가려야 합니다. 이때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는 식품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보의 홍수와 가짜뉴스가 범람하는 유튜브에서 확인되지 않은 의학 정보를 듣는다고 내가 더 건강해지지 않습니다. 남이 무엇을 먹고 건강해졌다는 말에 귀가 흔들려 갈팡질팡하는 것은 마음이 많이 약해진 것입니다. 가까운 한의원에 방문해 몸 상태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한방 치료를 받는 것이 확실한 건강을 위해 좋습니다.
반응형'여성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걷기 운동이 가장 쉬운데…", 무조건 많이 걸을수록 좋다? (4) 2024.12.11 동탄·화성능동·병점·오산 경추성두통 한의원 : ‘찌릿’ 뒷머리 아프고 하품 나오는 병… 의외의 원인 있었다. (1) 2024.12.06 동탄·화성능동·병점·오산 담결림 한의원 : “자고 일어났더니 목이 안 돌아가요”…담 걸렸다면 ‘이렇게’ 풀어야… (1) 2024.12.02 “우유 먹지 말라, 약 먹지 말라…그럼, 칼슘은 어디서?” (0) 2024.11.22 아침에 감자와 달걀 자주 먹었더니…몸에 변화가? (0) 2024.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