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탄·화성능동·병점·오산 담결림 한의원 : “자고 일어났더니 목이 안 돌아가요”…담 걸렸다면 ‘이렇게’ 풀어야…여성건강 2024. 12. 2. 09:00반응형반응형
관련기사 :
기사해제 :
잘못된 자세로 잠을 자고 일어나면 목을 돌리기 어려울 정도로 결리고 아픈 증상이 찾아오는 때가 있습니다. 이를 ‘낙침(落枕)’ 또는 ‘담에 걸렸다’라고 표현하기도 하는데, 길게는 며칠 동안 목에 통증을 가져와 불편을 겪어야만 한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담에 걸리는 가장 큰 원인은 ‘근막통증증후군’으로, 단순한 근육통과는 다른 질환인데, 근막통증증후군은 근육 또는 근육을 싸고 있는 근막에 통증 유발점이 발생하면서 근육통과 연관통, 운동 제한 등의 증상이 찾아오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보통 과도하게 운동을 하거나 장시간 잘못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은 해당 근육을 뭉치면서 근육을 싸고 있는 막을 잡아당겨 생기는 근막통증증후군이 발생하는 주원인으로 지목되는데, 몸의 어느 근육에서나 나타날 수 있지만, 주로 목과 어깨, 허리, 엉덩이 주위 근육에서 잘 생기는 경향을 보입니다.
특히 자고 일어난 후에 목이 결리는 증상을 겪는 이들이 흔한데, 이는 수면 중에는 뇌로 들어온 신호를 처리하는 것이 느려져 근육의 길이를 조절하는 ‘근방추세포’가 불편하다는 신호를 보내도 뇌에서 이를 인지하고 처리하는 시간이 느려지는 만큼, 불편한 자세로 자고 있어도 인지하지 못하다가 일어난 후에야 통증이 느껴지는 것입니다.
또는 뇌가 그 신호를 인지했다 하더라도 수면 중 움직임을 방해하는 수면 환경이 자세를 고정하면서 근육의 경직을 가져와 생길 수 있습니다. 최근에 바뀐 침구 세트가 있거나 달라진 수면 환경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깨어 있을 때도 오랜 시간 목을 아래로 숙이고 있거나 잘못된 자세로 어깨와 목을 사용하면 근막통증증후군이 찾아올 수 있습니다. 게다가 더운 날에는 실내에서 에어컨을 켜고 생활하면서 장시간 찬바람을 맞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혈관을 수축시켜 근육으로 가는 혈액이 원활하게 순환하지 못해, 근육의 긴장도를 높여 근막통증증후군이 쉽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목 디스크가 있는 때도 목이 결리는 듯한 불편감을 겪을 수 있는데, 목 디스크는 경추의 디스크가 빠져나와 신경을 누르는 질환으로, 목과 어깨에 결리고 저린 듯한 증상과 통증을 유발하는 것이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근막통증증후군 증상이 나타나는 부위와 양상이 비슷해, 목이 결리는 증상만으로는 목 디스크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목결림 외에 나타나는 증상은 없는지, 증상이 얼마 동안 이어지는지, 잘 때 손을 머리 위로 올리고 자는지를 확인해보면 근막통증증후군과 목 디스크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만약, 목결림 외에 팔과 손까지 저리고 힘이 빠지는 듯한 증상이 있을 때는 목 디스크로 인한 방사통을 의심할 수 있는데, 근막통증증후군으로 인한 목 근육 결림은 2~3일 내외로 풀리는 경향을 보이지만 목 디스크는 통증이 수 개월간 지속하는 만큼, 파스를 붙이면서 1주일이 지나도 목 통증이 이어진다면 목 디스크를 의심하고 병원을 찾아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가볍게 생긴 근막통증증후군에 의한 결림은 근육 경직을 풀어주는 것만으로도 완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통증이 생긴 날이나 이튿날 방문한 정형외과에서 처방해준 소염진통제와 근육이완제를 초기에 복용해 처음에 효과가 있는 듯하지만, 며칠이 지나면 통증 대부분은 특정 동작에만 통증이 심하게 느껴지고, 일상생활을 하기에는 참을 만한 통증이 있어 한의원 침구치료를 미루는 예가 많습니다.
또한, 평소에 바른 자세를 유지해야 하며, 업무나 공부를 하느라 장시간 불편한 자세를 유지했다면 수시로 목 스트레칭을 하면서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뭉친 근육을 잘 풀어주고, 며칠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통증과 결림은 자연스럽게 사라질 것으로 생각하기 쉬운데 그렇게 되지 않습니다. 한두 번은 풀릴지 모르나 여러 번에 걸쳐 생기는 통증과 결림은 한의원 침구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실제 한의원에 내원해 치료받는 분을 보면 결림과 통증으로 1~2주 전에 수상한 일단 파스부터 붙여보고 낫지 않아 정형외과에 내원해 약처방을 받아 복용하지만, 완전히 낫지 않아 본원으로 내원한 예가 많습니다. 또는 참을 만한 통증으로 버티다가 다른 증상이 병합되면서 내원해 치료받는 분도 있습니다.
하지만, 한의원 치료받고 좋아진 분이라면 이런 결림과 통증이 다시 생길 때 바로 오셔서 침구치료 또는 약침치료, 증상이 심할 때는 추나요법을 받은 후 밝아지는 안색을 보게 됩니다.
반응형'여성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탄·화성능동·병점·오산 경추성두통 한의원 : ‘찌릿’ 뒷머리 아프고 하품 나오는 병… 의외의 원인 있었다. (1) 2024.12.06 가장 질 좋은 단백질은? 달걀·소고기 아닌 바로 '유청' (2) 2024.12.04 “우유 먹지 말라, 약 먹지 말라…그럼, 칼슘은 어디서?” (0) 2024.11.22 아침에 감자와 달걀 자주 먹었더니…몸에 변화가? (0) 2024.11.15 안 움직이니 근육도 시름시름…집에서 ‘런지운동’만 해보자! (2) 2024.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