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빵이 그렇게 나쁩니까? …건강한 빵, 있다? 없다?여울다이어트 2024. 11. 25. 10:00반응형반응형
관련기사 :
기사해제 :
식품 가공산업이 발달하고 생활양식이 다양화되면서 밥보다 빵을 더 좋아하는 사람이 많아졌습니다. 하지만 주식을 쌀로 먹어온 탓인지 빵을 먹으면 뭔가 찜찜한 기분이 들기도 하는데, 이는 건강에 안 좋고 살을 찌게 하는 나쁜 탄수화물의 원천으로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주식을 밀로 하는 유럽이나 미국은 식품 검사가 까다로워 식품첨가나 가공 공정에 엄격한 규제를 하지만, 우리나라는 주식이 쌀이다 보니 그런 규제가 느슨해 건강보다는 입맛에 맞춰 소화기관이 약한 사람은 소화가 안 되는 예도 있습니다.
우리 밀이라 해서 우리나라에서 재배한 품질 좋은 밀이 있지만 수입 밀보다 가격이 배가 돼 손이 잘 가지 않기도 합니다. 건강이라는 것이 식습관에 의해 만들어지고, 식습관은 건강이라는 가치와 가격이 절충되는 중간에서 만들어집니다. 몸에 좋다고 한없이 비싼 음식을 먹으면서 생활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밀가루는 가공이 많이 될수록 트랜스지방이 많아지면서 맛과 칼로리는 커지고 대량생산으로 가격은 저렴해지지만, 건강에 해롭습니다. 특히 정제된 밀가루로 만든 흰빵은 영양소 대부분과 식이섬유가 제거된 상태로 가공합니다.
상표에 ‘강화’라는 단어가 있으면 일부 영양소를 추가했다는 의미지만, 영양 측면에서는 그 효과가 미미하고 당분이 높은 흰빵의 정제 탄수화물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희석하려는 광고 효과만 있을 뿐입니다. 정제 탄수화물은 빠르게 소화돼 혈당 수치를 즉각적으로 높일 수 있어 식습관으로 자리를 잡게 되면 심장병, 제2형 당뇨병, 비만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반면 통곡물빵은 복합 탄수화물을 포함하고 있어, 소화 시간이 길어 혈당 수치를 빠르게 변화시키지 않습니다. 하지만, 식감이 거칠고 질기며 맛이 없습니다. 오래 씹어야 해서 치아 건강과 성장호르몬을 분비하는 뇌하수체 자극에 좋지만, 입이 아플 수 있습니다. 건강한 맛은 대개 맛이 없습니다. 맛없게 먹으면 생활의 즐거움은 크지 않지만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습니다.
빵에는 단백질, 지방, 식이섬유, 비타민과 미네랄 성분이 들어있지만, 영양소가 상대적으로 적고 탄수화물이 많습니다. 전문가들은 빵을 식사용으로 섭취하려면 씨눈을 함유한 통곡물빵을 선택할 것을 권장하는데, 통곡물로 만들면 철, 아연, 비타민B와 같은 영양소와 식이섬유가 유지됩니다.
통곡물은 정제된 곡물보다 혈당수치를 점진적으로 상승시켜 심장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하지만, 통곡물빵을 많이 먹으면 혈당 상승의 요인이 돼 양보다는 질을 따져야 합니다.
통곡물에는 렉틴과 피트산이라는 다른 필수 영양소를 흡수하는 능력을 방해할 수 있는 항영양소가 포함돼 통곡물에 함유된 아연, 철, 칼슘, 인, 마그네슘의 흡수를 일부 방해할 수 있지만, 비타민과 광물성 영양소인 미네랄의 훌륭한 공급원이 될 수 있습니다.
통곡물빵은 영양가 있는 에너지원이 될 수 있고, 아울러 상당한 양의 식이섬유를 제공해 심장병 발생 위험을 낮추고 적절한 체중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어 연구에 따르면 통곡물빵은 혈당 수치 조절에 도움이 돼 제2형 당뇨병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글루텐은 밀, 호밀, 보리 등에 들어 있는 물에 녹지 않는 단백질인 불용성 단백질로 글루텐의 함량에 따라 식감이 달라집니다. 많을수록 쫄깃쫄깃하지만, 소화불량을 일으키는 주범이 됩니다.
쫄깃한 식감이 주는 밀가루가 아니라면 밀가루를 먹어야 할 이유는 없습니다. 바쁘게 생활하는 요즘에 한 끼 식사로 입맛을 돋우면서 포만감과 간편함을 주는 밀가루 가공식품인 빵이 갖는 이점은 건강이라는 가치를 넘어서게 됩니다.
하지만, 무엇이든 지나치면 독이 되고 병이 됩니다.
반응형'여울다이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지방 빨리 태우고 싶다면… 운동할 때 꼭 ‘심박수’ 확인해야… (2) 2024.12.09 "계속 살 잘 빠져"…하루 1,500kcal 제한, '단백질과 섬유질'을 늘려라! (2) 2024.11.29 달걀 먹은 사람 vs 빵 먹은 사람…누가 더 날씬하고 활력 넘칠까? (1) 2024.11.20 내장지방 고민에 탄수화물 줄였더니…어떤 변화가? (3) 2024.11.18 잘 자야 근육 커진다?…운동 효과 높이는 사소한 팁 (3) 2024.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