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건강
-
화성능동·동탄·병점·오산 과민성장증후군 한의원 : 여름에 찬 음식만 먹으면 장(腸)에 ‘최악’…어떤 음식이 좋을까?여성건강 2021. 7. 19. 07:00
여름철이 되면 아이스커피 등 시원한 음료와 빙과류, 시원한 맥주 등 차가운 음식들을 많이 찾게 된다. 하지만 날씨가 덥다고 이런 찬 음식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소화기 계통의 기관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속이 차가워지면 소화가 잘 안 되고 ‘과민성 장 증후군’에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평소에 장이 약해 소화기 계통의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이 찬 음식을 자주 먹으면 가뜩이나 약해진 장에 좋지 않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과민성 장 증후군은 대장내시경 등 여러 검사상 특별한 질환이 없으면서 복부 팽만감 등의 불편함 및 복통이 반복되고 설사, 변비 등의 배변 습관의 변화를 동반할 수 있다. 과민성 장 증후군은 특히 여름에 더 잘 발생한다. 여름철의 고온다습한 환경은 장 기능을 취약하게 만들..
-
똑같이 더운데… 유독 땀 많다면 ‘이것’ 때문일 수도…여성건강 2021. 7. 16. 07:00
기온이 오르면 평소보다 많은 양의 땀을 흘리게 된다. 여름철 체온 조절과 노폐물 배출을 위해서는 땀을 흘리는 게 좋지만, 지나치게 많은 땀을 흘릴 때는 문제가 될 수 있다. 특히 잠을 자거나 식사할 때 등 특정 시기에 유독 땀을 많이 흘린다면 체질적으로 땀이 많은 것이 아닌 건강 이상 신호일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자면서 땀 ‘뻘뻘’ 잘 때 코를 심하게 골면서 땀을 많이 흘린다면 수면무호흡증일 수 있다. 숙면을 위해서는 수면 중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돼야 하는데, 수면무호흡증이 있으면 교감신경이 활성화돼 혈압·맥박이 올라가고 식은땀을 많이 흘리게 된다. 불안장애 역시 교감신경·부교감신경 균형이 깨져 수면 중 땀을 많이 흘리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불안장애가 있는 경우 식은땀과 함께 두근거림, 어지러움, 숨..
-
화성능동·동탄·병점·오산 만성소화불량 한의원 : 소화불량 달고 사는 당신이 고쳐야 할 습관 5여성건강 2021. 6. 2. 07:00
특별히 자극적인 음식을 먹지 않았는데도 자주 속이 더부룩하고 쓰릴 때가 많다면 일상 속 잘못된 생활 습관에 의해 유발된 것일 수 있다. 위 건강을 망치는 의외의 습관에 대해 알아봤다. 혼자 밥 먹기. 혼자 밥을 먹을 땐 식사를 한다기보다 한 끼를 해결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조사에 의하면 혼자 밥을 먹는 사람의 약 55%가 식사를 대충하거나 인스턴트 식품을 주로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주 즐긴다고 응답한 식사 메뉴는 라면, 백반, 빵, 김밥 등이었는데, 이런 간편식은 지방이 많아 소화가 잘 안 되고, 비만을 유발하기 쉽다. 혼자 밥을 먹을 때 TV나 휴대폰으로 영상을 보면서 음식을 먹는 경우가 많은데, 화면에 집중하다 보면 먹는 양을 인지하지 못해 과식이나 소화불량 등이 유발될 ..
-
화성능동·동탄·병점·오산 두한증 한의원 : 머리에서 주룩주룩 비가?…‘두한증’ 어떻게 개선할 수 있나?여성건강 2021. 5. 26. 07:00
관련기사 : https://bit.ly/3g3cINc 머리에서 주룩주룩 비가?…‘두한증’ 어떻게 개선할 수 있나 약해진 ‘호흡기능’ 이 근본원인, 올바른 생활습관으로 ‘면역력’ 높여야 # 30대 여성 한정민 씨는 여름철... news.khan.co.kr 기사요약 : 특히 식사 시간에 밥을 먹으면 정수리에서 시작된 땀이 목을 타고 흐를 정도라 매운 음식은 시도조차 하지 않는다. 머리카락이 흠뻑 젖을 뿐만 아니라 상의까지 적시다 보니 더운 날씨가 달갑지 않다. 약해진 ‘호흡기능’이 근본원인. 땀은 우리 몸의 체온 조절을 비롯해 항균, 보습, 각질 제거 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하지만 시도 때도 없이 흐르는 땀 때문에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다한증 그중에서도 머리에서 땀이 나는 ..
-
목 뒤에 혹처럼 불룩… ‘버섯증후군’ 아세요?여성건강 2021. 5. 12. 07:00
목 뒤에 유독 살이 붙고, 불룩하게 뼈가 튀어나온 사람은 ‘버섯증후군’을 의심해야 한다. 버섯증후군은 뒷목 아래 경추(목뼈) 7번 뼈 일부가 돌출되면서, 버섯이나 혹처럼 불룩하게 보이는 상태다. 목에 살이 찐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버섯증후군이 생기는 가장 큰 원인은 일자목, 거북목이다. 이로 인해, 목의 정상적인 곡선이 흐트러지면, 목 아래쪽 7번 경추에 위치한 뼈인 ‘극돌기’가 도드라진다. 극돌기는 원래 약간 튀어나와 있지만, 증상이 악화해 극돌기에 퇴행성 변화나 염증이 생기면 혹처럼 튀어나와 보이거나 목에 유난히 살이 쪄 보인다. 특히 목을 지나치게 아래로 숙이거나, 뒤로 젖히고 일하는 프로그래머, 치과의사, 건축가 등에게 잘 생긴다. 버섯증후군을 예방하려면 평소 목을 앞으로 구부리고 오래 있는 자..
-
화성능동·동탄·병점·오산 불면증 한의원 : 불면증, 한 번 걸리면 낫기 어려워…여성건강 2021. 4. 28. 07:00
미국 건강 정보 사이트 HealthDay가 10일 불면증에 한 번 걸리면 최대 5년간 지속한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를 보도했다. 캐나다 라발대학 연구팀이 성인 3천여 명을 조사한 결과, 불면증을 앓고 있었던 사람들의 37.5%가 5년이 지난 후에도 같은 증상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년 전 불면증이 심했던 사람들이 지속성도 더 높았다. 불면증이 없었던 참가자의 14%는 5년 안에 불면증이 발생했다. 라발대학 심리학 교수 찰스 모린은 “불면증이 지속하면 여러 부정적인 요인과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라고 말했다. 불면증을 앓으면 밤에 잠을 못 잘 뿐 아니라 평소 수면 자체가 어려울 수 있고, 아침에 매우 일찍 일어날 수 있다. 미국 수면의학원 이사 제니퍼 마틴은 “불면증은 우울증, 고혈압, 당뇨병, 심..
-
자기 전 물 섭취…‘혈액 건강’ vs ‘숙면 방해’여성건강 2021. 4. 21. 07:00
자는 동안에는 체내의 수분이 줄어들어 혈액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 몸속에 수분이 모자라니 혈액이 끈적끈적해져 원활한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자기 전 물을 마시라고 권하지만, 화장실을 들락거릴까 봐 걱정인 사람도 있다. 취침 전 물 섭취의 건강효과와 수면건강에 대해 알아본다. 기저질환 있으면 돌연사 위험까지… “피가 끈끈해져요.” 혈액의 구성 성분은 물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낮에 물을 충분히 마시면 피의 흐름이 원활해지고 혈액 내에 노폐물이 많이 쌓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하지만 저녁 식사 후 취침 전까지 물을 마시지 않으면 10시간 이상 체내에 수분 공급이 끊기는 것이다. 당연히 혈액에도 영향을 미쳐 혈액의 점도가 올라가 피의 흐름에 이상이 생길 수도 있다. 특히 고혈압, 당뇨병..
-
발바닥이 벗겨지는 이유여성건강 2021. 4. 7. 07:00
발바닥 살이 거칠어지고 갈라지더니 심지어 벗겨지기까지 한다. 이유가 뭘까? 대책은 없을까? 무좀 발이 벗겨지는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무좀 같은 진균 감염이다. 발이 감염되면 발톱이 감염되는 건 시간문제다. 족부 전문의 레베카 프루티는 “얼른 약국에 달려가 항균 스프레이나 크림을 사라”고 조언한다. 무좀이 있는 사람의 신발에는 같은 균이 살고 있을 확률이 높다. 신발에도 항균 스프레이를 뿌리는 것이 좋다. 그래도 증상이 계속된다면 의사에게 보이는 게 좋다. 운동 운동을 격하게 한다고 발바닥 살이 벗겨지진 않는다. 운동하면 땀을 흘리게 되는데, 그렇게 발이 축축한 상태에서 균을 만나는 게 문제다. 맨발로 운동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매트 한 장을 여럿이 돌려쓰거나 습한 환경에서 핫 요가를 하는 것도 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