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트륨
-
짜게 먹으면 나타나는 의외의 증상 3가지여성건강 2024. 6. 19. 09:00
관련기사 :짜게 먹으면 나타나는 의외의 증상 3 짜게 먹으면 나타나는 의외의 증상 3세계보건기구(WHO)는 하루 소금 섭취량을 5g, 나트륨 섭취량을 2g 이내로 제한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소금의 주성분인 나트륨은 고혈압, 비만, 노화, 심장질환 등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한국인v.daum.net 기사해제 : 입맛이 없다 보면 음식의 간을 짜고 맵게 해야 그 맛이 느껴집니다. 대개 살찌는 과정에서 음식과 감정이 연결되거나 나이를 먹어 미각이 떨어지면 짜게 먹습니다. 심할 정도로 짜게 먹으면, 체내 나트륨과 수분의 균형을 깨지면서 나트륨에 의한 삼투압 증가로 우리 몸은 갈증을 느끼고 체내 수분을 보충하기 위해 물을 많이 마시게 됩니다. 그런데 그 갈증이 허기로 느끼게 되면서 목마름을 배고픔으로 착각할..
-
韓食은 건강식?…한식 속 나트륨이 건강 망친다.여울다이어트 2018. 12. 17. 07:00
흔히 잘 차려진 한 끼 밥상은 건강의 시작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리가 매일 먹는 한식이 사실은 건강을 망치는 주범일 수 있다. 한국인 3명 중 1명이 앓는다는 고혈압의 주요 원인이 바로 한식 때문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제기되는 배경이다. 고혈압 90%는 ‘짜게 먹는’ 생활습관 탓!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일 때를 말한다. 고혈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뚜렷한 원인이 없는 '본태성'과 콩팥병이나 갑상선장애 등 질환으로 인해 생긴 '이차성'이다. 전문가들은 국내 고혈압 환자 10명 중 9명은 본태성 고혈압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즉, 잘못된 생활습관이 영향을 미친 것이다. 비만하면 혈액 속 인슐린 농도가 증가하는데, 이는 교감신경계를 활성화..
-
외식 많은 男, 나트륨 과다…고기 안 먹는 女, 단백질 부족여울다이어트 2018. 11. 5. 07:00
건강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지만 '한국인의 식탁 건강'은 이를 따르지 못하고 있다. 남녀의 음주율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고, 여성은 10명 중 3명이 단백질 섭취량이 부족한 상태다. 나트륨 섭취량도 여전히 많다. 성별 다소비 식품을 살펴보면서 건강상 문제점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첫째, 남녀 음주율이 2배 이상 증가했다. 국민 1만 명을 표본으로 조사한 보건복지부의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주류 섭취량이 크게 늘었다. 1998년 하루 평균 46.5g에서 2016년 115.6g으로 2.5배 증가했다. 음주량은 남성이 압도적으로 많다. 2016년 기준 하루 평균 182.2g의 술을 마시는 것으로 확인됐다. 남성이 가장 많이 먹는 식품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쌀밥(166.3g), 맥주(84.1g), 김치(77.4g),..
-
"소스 제품 1인분만 먹어도 나트륨 1일 기준치 초과하기도"여울다이어트 2018. 10. 24. 07:00
최근 집밥 열풍 등으로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소스류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나 일부 제품은 1인분만 섭취해도 나트륨 1일 기준치를 초과해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은 시중에 판매 중인 소스류 32개 제품의 나트륨·당류 함량, 위생실태, 표시실태 등을 조사한 결과 일부 소스 제품에서 나트륨이 과다하게 포함돼 있었다고 30일 밝혔다. 조사대상 제품은 고기 양념 8개, 찌개 양념 8개, 기타 양념 8개, 파스타 소스 8개 등 총 32개였다. 나트륨은 과다 섭취할 경우 심혈관계 등의 만성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나트륨의 1일 영양성분 기준치를 2천㎎으로 정하고 있다. 하지만 소스류 32개 제품의 나트륨 함량을 조사한 결과, 10개 제품은 1인분 당 나트륨 함량이 1일 영양성분 기준치의 50%..
-
무기질 (2) 영양제 하나 쯤은 먹고들 계시죠?여울다이어트 2018. 3. 7. 09:00
일반적으로 적게 또는 많이 섭취하게 되어 그에 따른 부작용이 있습니다. 무기질에 따라 잘 발생하는 부작용을 알아보겠습니다. 나트륨은 일상에서 많이 섭취하기도 하고 적게 섭취하기도 합니다. 많이 섭취할 경우 체내 수분량이 많아져 부종이 되기 쉽습니다. 장기간 지속될 경우 고혈압이 유발되는데 한몫을 합니다. 적게 섭취하면 체내 수분량이 적어지고 어지럼증, 두통, 구역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인체의 수분 대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칩니다. 수분 대사에 의한 체온 유지, pH 균형, 전해질 균형에 관여하게 됩니다. 나트륨이 중요한 이유는 신장에서 재흡수되는 과정에서 다른 미량의 무기질도 같이 재흡수되기 때문입니다. 저염식 식사가 장기간 지속될 경우 재흡수되는 나트륨의 양이 부족해서 같이 재흡수되는 마그네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