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치 답답‧속 더부룩 지속하는 신경성위염 원인은?
관련기사 :
명치 답답‧속 더부룩 지속되는 신경성위염 원인은?
[메디컬투데이=김준수 기자] 직장인 B(43세, 남)씨는 속이 더부룩하고 명치가 답답한 소화불량 증상에는 늘 소화제, 진통제에만 의존했다. 그러나 약을 먹을 때만 증상이 좋아질 뿐, 재발을 반복
mdtoday.co.kr
기사해제 :
가슴이나 명치 답답함을 동반하는 소화기 증상을 유발하는 원인은 많습니다. 감기 걸리면 입맛이 떨어지고 소화가 잘 안 되는 외감성 소화장애, 노심초사하면서 생기는 신경성 소화장애, 불규칙한 식사, 과식에 폭식, 장은 야식으로 생기는 소화기성 소화장애 등이 있습니다.
명치 부위 답답함만을 호소하는 예는 횡격막의 자율적인 리듬이 깨지면서 생기는 기능부전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소화불량으로 생각해 죽만 먹다가 기운이 빠지게 됩니다. 소화가 안 된다고 생각하면 증상이 더욱 심해져 헛트림을 억지로 하게 되고, 처음에는 소화제에 반응하지만, 그 뒤로 반응하지 않고 장에 가스가 많이 차면서 가래가 많이 생기고 명치 답답함은 있다가 없기를 반복하게 됩니다. 그런데, 발병 초기에 소화불량과 다르게 식욕이 떨어지지 않습니다. 간혹, 역류성식도와 같이 식도 하단 부위, 명치 부위가 타는 듯이 쓰라리기도 합니다. 호흡곤란이 있어 응급실을 찾는 때가 종종 있고, 의자에 앉아 있다 보면 명치 부위가 답답해 허리를 뒤로 젖이거나 앞으로 숙여야 편하게 됩니다.
낮 동안에만 답답함을 느끼지만, 밤에 자는 동안에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간혹 있지만, 대체로 똑바로 누우면 속이 답답해 모로 누워 자야 하는 예가 많고 자다가 수시로 깨기도 합니다. 수면의 질의 떨어집니다. 하지만, 심정도, 위장내시경 등 각종 검사상 특이 사항은 없습니다. 환자에 따라서는 장이 부은 느낌이라든지 목 주위 근육에 뭔가 달라 붙은 느낌이라든지 귀가 먹먹하거나 치아 둔통이 함께 나타나는 예도 있습니다.
신경성 위염은 기능성 소화불량이라고도 불리며, 기질적인 원인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상복부 답답, 속쓰림 등의 증상이 6개월 이상 지속하는 것을 말합니다.
규칙적인 식사에 폭식과 과식은 거의 없고 야식도 없는데 식후 가슴 답답함을 느끼는 때가 많습니다. 내시경으로 볼 때 위장 내벽이 빨갛게 발적이 생길 때가 많습니다. 병·의원에서는 역류성 식도라고 진단하는 예도 있습니다.
대개 스트레스에 취약한 분에게 잘 일어납니다. 평상시에는 괜찮다가도 스트레스를 받으면 소화가 안 되고 잠도 잘못 자는 분으로 두통이 잘 생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수면도 숙면보다는 천면인 얕은 잠을 자고 꿈을 많이 꾸며 빛과 소리에 깨는 예민함도 있습니다.
가슴 답답함으로 한숨을 자주 쉬게 되지만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은 잘 나타나지 않습니다. 명치에 뭔가 걸려 안 내려가는 소화불량이 아니기에 소화제에 잘 반응하지 않습니다. 장에 차는 가스가 잘 배출되면 그나마 괜찮지만 그렇지 않으면 수면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런 과정이 반복하면서 생활의 질을 떨어뜨린다면 가까운 한의원에 내원해 진료를 받은 후 그에 맞는 통합한방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심리적인 안정을 찾는 것이 치료의 주된 목표가 됩니다.
신경성 위염인 분은 잘 먹고 잘 쉬는 것이 몸과 마음의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그보다는 주말에 산 좋고 물 좋은 근교를 찾아 산새소리, 물소리와 바람소리를 피부로 느끼면서 긴장된 몸과 마음을 풀어주는 것이 심리적 안정을 되찾아 생활의 활력을 얻는 길이 될 것입니다.
가슴 답답함이 생긴다면 소화가 안 돼서 그런가 보다는 생각을 하기보다는 요즘 들어 뭔가에 불안해하고 두려워하는 자신 내면을 둘러보고 심리적 안정을 찾기 위한 노력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 마음은 날씨와 같습니다. 어떤 행동을 했을 때 마음이 한결 나아진다면 그 행동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만성난치] 명치·가슴 답답함·가슴 두근거림·가슴 뻐근함·결림·목의 이물감·잦은 사레
환자들의 구체적인 치료사례와 후기는 블로그 ‘서로이웃’이신 분만 읽을 수 있습니다. 치료사례가 궁금하...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