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먹는 약, '이렇게' 버린다!
관련기사 :
안 먹는 약, '이렇게' 버린다
집 정리를 하고 나면 생기는 각종 쓰레기 중 가장 난감한 건 먹다 남은 의약품이다. 일반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는 물론 폐건전지도 전용 수거함이 있지만, 의약품 쓰레기통은 보이질 않는다.
www.msn.com
기사해제 :
감기약, 항생제, 소화제, 진통제 등 상비약으로 약국에서 구매하거나, 아플 때 병·의원을 방문해 처방받아 복용하게 됩니다. 그런데 처방받은 약을 잊고 복용하지 않거나 상비약을 구매 후 복약하지 않아 먼지가 쌓여 있을 때도 있습니다.
특히, 이사 갈 때 잊고 있다가 여기저기서 나오는 약이 많습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약은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의약품은 일반쓰레기로 버리면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키고, 생태계 교란까지 일으킬 수 있습니다. 약국·보건소에서 수거 의약품을 버릴 때는 약의 제형에 따라 분리해 버리면 됩니다.
알약은 알약끼리, 시럽은 시럽끼리 모으면 되고, 알약 또는 캡슐은 약을 포장한 약포지에서 꺼내 한 곳에 따로 모으고, 약포지는 일반의약품으로 버리면 됩니다.
단, 원래 약이 담겨 있던 병은 물로 헹구거나 재활용하지 말고, 따로 모아서 폐의약품으로 배출해야 합니다.
제형 특성상 한곳에 모으기 어려운 안약, 연고 등은 종이갑 등 2차 포장재만 제거하고 나서 모으고 단순 비닐이나 종이 포장재는 일반쓰레기로 버려도 됩니다. 특히, 가루약은 개봉 과정에서 오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포장을 뜯지 말고 그대로 모아야 합니다.
분류한 폐의약품은 가까운 약국이나 보건소에 전달하거나 근처에 설치된 폐의약품 수거함에 버리면 됩니다.
의약품은 유효기한이 지났거나 변질이 됐다면 아깝다고 생각하지 말고 과감히 버려야 합니다. 유효기한이 지나거나 변질한 약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의약품의 유효기간은 대부분 약상자 겉면에 기재돼 있으므로, 약은 개봉 후에도 약상자와 함께 보관하고, 사용 전 유효기한을 꼭 확인해 기한이 지났다면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유효기간이 따로 기록되지 않는 처방약은 일부를 제외하면 대개 유효기간이 1년 정도입니다. 단, 처방약이라도 가루약은 조제한 날로부터 6개월, 시럽제는 1개월까지 유효하고, 점이제, 점비제, 가글제는 개봉 후 1개월까지만 사용해야 하며, 그 외 연고와 크림의 유효기한은 개봉 후 6개월입니다.
유효기한이 지나지 않았더라도 관리를 잘못해 약 포장지에 습기가 차 있거나 약이 파손된 경우, 색이 변하거나 냄새가 변했다면 변질한 것이므로 폐기해야 합니다.
명절이나 부모님 생신 때 부모님 댁에 가게 된다면 잊지 말고 식탁이나 화장대에 부모님이 복용하시는 약상자를 잘 살펴보고 유통기한이 지난 약이나 건강기능식품은 따로 정리해 버리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혈관 50% 막혀도 무증상…갱년기에 무서운 ‘이 병’은?
혈관 50% 막혀도 무증상…갱년기에 무서운 ‘이 병’은?
관련기사 : https://bit.ly/3ijzzHf 혈관 50% 막혀도 무증상.. 갱년기에 무서운 ‘이 병’은? 뇌졸중(뇌경색-뇌출혈), 심장병(협심증-심근경색) 등 혈관병의 직전 단계는 무엇일까? 정확히 말하면 죽상경
raondragon.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