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울다이어트

밀가루 흰색인데… 라면 사리는 왜 노란색?

raondragon 2022. 11. 21. 09:00
반응형
반응형

관련기사 :

https://bit.ly/3Eihm4n

 

밀가루 흰색인데… 라면 사리는 왜 노란색?

하얀 밀가루로 만든 국수, 우동 사리는 하얗다. 그런데 왜 똑같이 밀가루로 제조한 라면 사리는 노란 걸까? 라면 사리에는 노란색을 띠는 리보플라빈(비타민B2) 성분이 함유됐기 때문이다. 라면

www.msn.com

기사해제 :

 

 

라면은 언제 어디서든 간단하게 한 끼를 해결할 수 있는 밀가루 가공식품입니다. 흰색의 국수 소면이나 우동 사리와 다르게 라면은 노란색을 띱니다.

 

이는 건강에 좋지 않다는 대중의 인식을 바꾸고 라면의 식감을 올리기 위해 리보플라빈 성분을 넣었기 때문입니다. 이 성분이 체내에서 부족할 때 생기는 신체 증상이 있다고 하지만, 라면에 포함된 성분의 함량은 적고 다른 식품에서 충분히 섭취할 수 있어 건강에 좋다고 단언하기는 어렵습니다.

 

재료 본래의 상태에 가공을 많이 할수록 맛은 좋아지지만, 화학조미료의 첨가는 늘어나게 됩니다. 또한, 밀가루 가공에 따른 소금의 함량이 적지 않아 자칫 혈당과 혈압에 영향을 줘 대사성질환에 쉽게 노출될 수 있습니다.

 

 

모든 음식을 직접 조리해 먹기에는 시간과 비용이 적지 않게 들어가 정신없이 바쁜 생활에서 적절히 먹는 횟수를 조절해 가면서 다양하게 라면을 즐기는 방법은 좋습니다.

 

라면을 끓이는 방법에 따라 라면에 함유된 포화지방과 소금양을 줄일 수 있지만, 라면의 맛은 떨어지게 됩니다. 라면 봉지 뒤에 표시된 조리법에 맞게 끓여야 제일 맛있습니다.

 

탄수화물의 함량이 높고,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이 적어 무분별한 라면의 섭취는 영양불균형은 가져오고, 체내 과잉 칼로리 공급으로 살찌게 됩니다.

 

 

장이 예민해 장에 가스가 많이 차고 무른 변을 자주 본다면 라면을 먹을 때 건조해 방부 처리한 건더기는 빼고 드시는 것이 좋고, 역류성 식도염으로 소화기능에 문제가 있다면 라면은 될 수 있으면 안 먹는 것이 좋습니다.

 

아메리카노는 살 안 찐다? 방심은 ‘금물’

 

아메리카노는 살 안 찐다? 방심은 ‘금물’

다이어트를 하는 커피 애호가들은 아메리카노를 찾는다. 크림, 초콜릿 시럽 등이 올라간 커피보다 열량이 적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마음 놓고 아메리카노를 마시는 것도 위험하다. 아메리카노

raondragon.tistory.com

 

Raondragon.modoo.a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