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울다이어트

비만(Obesity)이란?

raondragon 2018. 2. 10. 12:44
반응형

 

반응형

비만은  섭취한 칼로리에 비해 소모한 칼로리가 적어 남은 칼로리가 체내 지방으로 저장된 상태를 말합니다.  흔히 체질량지수(BMI : Obesity and Body Mass Index)를 계산해 비만도를 간단하게 측 정합니다. 체중(kg)을 신장(cm)의 제곱으로 나눕니다.

 

대한 비만학회 기준으로는 저체중 18.50 이하, 평균 체중 18.50 - 22.99, 과체중 23.00 - 24.99, 비만 25.00 29.99, 중증 비만 30.00 34.99, 고도 비만 35.00 이상으로 진단합니다.
 
우리나라 사람의 체형을 기준으로 하지 않아 오차는 있습니다. 그리고
체지방과 근육량의 상대적인 비율로 나타나기 때문에 체질량지수가 높다고 해서 체지방이 많은 것은 아닙니다.
 
허리둘레를 이용해 비만 정도를 가늠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남자는 허리둘레 36인치 이상, 여성은 허리둘레 32인치 이상을 기준으로 체내 복부 지방에 따른 비만을 진단합니다. 비만과 심장질환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체질량지수보다는 허리둘레가 유의미합니다.


그리고 똑바로 선 다음 발을 내려다봤을 때 발이 보이는 면적을 통해 비만도를 측정하는 것도 좋습니다. 내려다볼 때 보이는 부분과 보이지 않는 부분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로 측정할 수도 있습니다.

 

에너지 대사, 뇌가 얼마나 차지할까요?

 

에너지 대사, 뇌가 얼마나 차지할까요?

인체가 사용하는 하루 에너지를 100%라고 한다면, 70%는 살아 숨 쉬는 과정에서 인체 내부 장기의 활동을 위한 영양과 인체 장기가 배출하는 노폐물의 배설에 사용하고, 20%는 일상의 육체적인 활

raondragon.tistory.com

 

사진 : winnifredxoxo 

댓글 및 공감은 블로그 운영에 큰 힘이 됩니다.
블로그 글이 마음에 속 들면 블로그 글을 구독해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