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울다이어트

단백질 (2) 간에서 단백질 처리할 때 독소가 나온다던데 어떻하죠?

raondragon 2018. 2. 25. 09:00
반응형
반응형

단백질의 구조는 아미노산의 사슬 사이의 입체구조를 형성합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각각의 단백질은 고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니게 됩니다.

 

온도가 높아지면 단백질의 구조를 유지하는 여러 결합들이 깨지며 급격한 pH의 변화는 단백질을 구성하고 있는 분자의 급격한 변화를 초래해 단백질의 특성을 잃어버려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단백질은 다른 영양소인 지방과 탄수화물에 비해 포만감을 가장 빨리 주는 식품이며 그 맛은 감칠맛으로 표현됩니다. 포만감이 빠른 이유는 소화와 흡수 과정이 느리고 뇌가 좋아하는 당 섭취에 대한 갈망으로 단백질의 식욕을 떨구어 버리기 때문입니다.

단백질은 체내 소화와 흡수되는 과정이 더디면서 그 과정에 간이 관여합니다. 단백질 위주로 식단을 구성할 경우 간에 무리를 줄 수 있습니다. 지방을 같이 섭취하면 그 문제는 해결됩니다. 섭취한 단백질의 50%는 소화와 흡수되는 과정에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나머지는 저장됩니다. 탄수화물이 에너지원으로 고갈되면 몸은 단백질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합니다.

 

성장기 아이들에게 있어서는 식물성 단백질을 제한할 필요가 있습니다. 면역체계가 미성숙하기 때문에 자가면역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동물성 단백질은 유전자 변형이 어려운 반면 식물성 단백질은 생산 증대와 식감을 위한 변형을 심하게 인위적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소화와 흡수내 몸의 성분이 아닌 외부물질을 섭취해 내 몸의 성분으로 만드는 과정입니다. 흡수되는 과정에서 내 몸의 유전자가 소화된 물질이 흡수돼도 좋은 물질인지 기억으로 식별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기억된 성분은 흡수되지만 그렇지 않은 성분에 대해서는 면역 활성이 이루어지고 공격하게 됩니다.

 

우리 몸이 진화되는 속도보다 식물성 단백질이 진화되는 속도가 너무 빨라 우리의 몸이 적응을 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단백질 대사에 대한 내용은 나중에 따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끝)

 

고단백 다이어트 식단이 간수치 올린다.

 

고단백 다이어트 식단이 간수치 올린다.

두둑한 패딩이 가려주던 내 몸의 군살, 이제 고스란히 드러내야 하는 계절이 왔다. 다이어트의 시즌이 도래한 것. 체중 감량을 위해서는 적절한 운동과 함께 식이요법이 병행돼야 한다. 닭가슴

raondragon.tistory.com

 

댓글 및 공감은 블로그 운영에 큰 힘이 됩니다.

블로그 글이 마음에 속 들면 블로그 글을 구독해주세요.

 

Raondragon.modoo.a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