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들어 ‘올챙이배’ 너무 많아… 혹시 나도 ‘내장비만’ 일까?
관련기사 :
나이 들어 ‘올챙이배’ 너무 많아… 혹시 나도 ‘내장비만’ 일까?
나이 들수록 유독 배만 볼록 나온 사람들이 많다. 이런 경우, 근육은 빠지고 내장지방이 배에 많이 쌓여 생기는 일명 '올챙이배'라고 부른다. 가장 큰 문제는 바로 '내장비만'이다. 전체적인 피하
v.daum.net
기사해제 :
나이 들수록 유독 배만 볼록 나온 사람들이 많은데, 근육은 빠지고 내장지방이 배에 많이 쌓여 생기는 남성형 복부비만으로 일명 '올챙이배'라고 부릅니다. 사상체질 중 비만 체형이 아닌 소양인에게 가장 잘 나타나기도 합니다.
볼록하게 앞으로 배를 내미는 체형이 되는데 문제는 바로 '내장비만'입니다. 전체적으로 비만 체형인 사람은 물론이고, 말랐지만 배만 유독 나온 사람도 내장비만을 의심해야 합니다.
내장과 장간막 사이, 장간막 사이, 내장 사이에 지방이 축적돼 있어 혈관과 내장에 직접적으로 나쁜 영향을 끼치며 체내 호르몬과 비슷한 물질을 분비해 체내 호르몬 대사를 교란하고 만성 염증의 주범이 됩니다.
폐경기 여성과 술을 많이 마시는 사람은 내장비만의 위험이 크다고 알려져 있는데, 특히 50대 전후 여성이 폐경기가 되면, 지방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분비가 줄면서 복부에 지방에 쌓이고, 노화로 인해 장기능이 떨어지고 자연적인 근손실이 생기면서 신진대사가 떨어져 장에서 흡수한 영양이 내장 사이사이 빈 곳에 머무는 현상이 가중돼 내장비만이 되기도 합니다.
내장지방은 혈액 속으로 지방을 흘려보내 심·뇌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높이는데, 유리지방산 같은 염증성 물질이 혈류를 타고 돌면서 혈관을 망가뜨리기 때문입니다. 또한, 장기 주변에 지방이 잔뜩 끼면, 장기가 압박을 받아 정상적인 활동이 위축돼 기능이 떨어져 장에 가스가 차는 복부팽만감과 변비가 생길 수 있습니다.
대사증후군인 사람은 심장병이나 뇌졸중에 걸릴 위험성이 건강한 사람보다 무려 30배 이상 높아지는데, 대사증후군의 위험인자는 내장비만, 고지혈증, 고혈압, 고혈당 등 네 가지입니다. 그중 내장지방이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로 중년이 넘으면 질병 한두 가지 정도는 당연하다고 여기지만, 위험인자가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해 심각한 질환을 초래하게 됩니다.
보통 비만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로 쓰는 체질량지수(BMI)는 몸무게(kg)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눠 구하지만, BMI 진단 결과 정상으로 분류된 경우라도 실제로는 비만인 경우가 많아 배꼽 주위 허리둘레를 측정해 심혈관 위험성을 추정합니다. 정확한 검사를 원한다면 CT촬영 등의 정밀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살찐 배의 모양으로도 유추할 수 있습니다. 윗배는 아닌데 아랫배만 볼록 나왔다면 피하지방이 쌓이고 있는 단계일 수 있지만, 배가 전체적으로 둥글게 나왔다면 내장지방이 많이 쌓였을 가능성이 큽니다. 배꼽을 기준으로 윗배와 아랫배가 모두 많이 나오고, 뱃살까지 접힌다면 내장지방과 피하지방이 모두 쌓인 위험한 상태일 수 있습니다.
복부자가 진단법은 천장을 보고 누워 가볍게 무릎을 세운 상태에서 배에 힘을 뺀 다음 양손으로 배꼽 좌우의 살을 잡아 비만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살이 깊게 뭉텅이로 잡히면 피하지방형 비만, 피부만 잡히면 내장비만일 가능성이 큽니다.
내장비만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맛없게 먹으면 됩니다. 음식에 큰 의미를 두지 말고 배고픔이 가실 정도로 끼니를 때우면 됩니다. 오후 9시 넘어서는 어떤 음식도 먹지 않는 절도 있는 식습관과 생체리듬에 맞는 생활습관으로 자정 전에는 잠자리에 들고, 일주일에 2~3일은 걷기 또는 달리기 1시간의 유산소 운동을 하고, 주 2일은 근력운동을 하면 됩니다.
스트레스를 술이나 음식으로 풀 것이 아니라 운동과 땀으로 풀고 오늘보다 내일이 더 좋을 거라는 긍정적인 생각으로 오늘 하루에 충실하게 생활한다면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