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건강

갑자기 파르르 떨리는 근육…‘근육 경련’이 나타나는 이유는?

raondragon 2025. 1. 17. 09:00
반응형
반응형

관련기사 :

https://tinyurl.com/24v2jkdz

 

갑자기 파르르 떨리는 근육, ‘근육 경련’이 나타나는 이유는?

갑자기 눈꺼풀이 떨리거나 다리나 팔 근육이 튕기듯이 움직이는 경험을 한 적이 있을 것이다. 이는 ‘근육 경련’으로, 근육이 자발적으로 수축하면서 생기는 현상이다. 근육 경련의 가장 흔한

v.daum.net

 

기사해제 :

 

 

갑자기 눈꺼풀이 스스로 떨리거나 다리나 팔 근육이 튕기듯이 스스로 움직이는 경험을 한 적이 있을 것입니다. 이는 ‘근육 경련’으로, 근육이 자발적으로 수축하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근육 경련의 가장 흔한 원인은 ‘근육의 과도한 사용’과 ‘지나친 피로’입니다. 근육을 오랫동안 사용하면 근육이 수축하고 이완되면서 스트레스가 가해져 지치게 되고, 근육 섬유들이 손상돼 근육 경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분 부족이나 전해질 불균형으로 인해서도 근육 경련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근육은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적당한 수분과 전해질 농도가 필요한데, 물을 충분히 마시지 않거나 땀을 너무 많이 흘리면 체내 수분이 손실되면서 근육의 이온 전달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서, 근육 경련이 자주 나타나게 됩니다.

 

 

근육 경련은 질환의 징후가 되기도 합니다. 특히 신경계에 이상이 생기면 근육에 비정상적인 신호를 보내 근육 경련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손과 팔 등에 근육 경련이 자주 나타난다면 파킨슨병을, 얼굴이나 눈 주위에 경련이 자주 나타난다면 뇌질환이나 신경과 혈관의 유착을 의심해보아야 합니다. 이 밖에도 스트레스나 카페인 과다 섭취, 수면 부족 등도 근육 경련을 일으키는 원인이 됩니다.

 

근육 경련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휴식을 취해 피로한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울러, 운동 전에는 스트레칭을 시행해 근육을 늘리고 혈류를 촉진하면 근육 경련의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운동 중에는 적절하게 강도를 조절하고, 땀을 많이 흘렸다면 물을 섭취해 수분을 보충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근육에 원활한 에너지 공급과 근육의 회복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평소 신선한 과일, 채소, 견과류, 양질의 단백질과 지방이 적절하게 포함된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생활습관 개선에도 불구하고 근육 경련이 너무 자주 나타나거나 개선되지 않는다면, 병·의원을 방문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대체로 근육 경련이나 통증으로 내원하는 환자군을 두 부류로 나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하나는 과다 사용으로 인한 근육 뭉침을 동반하고 가동 범위에 제한이 있으며 사용하면 아프고 쉬면 괜찮아지는 청장년층의 근육형이고 또 하나는 사용하거나 쉴 때 모두 경련이 있거나 통증이 있는 중장년층의 영양 부족형입니다.

 

청장년층이 근육형은 치료하면 예후가 좋고 식습관과 생활습관에 대한 개선이 따라오면 치료 만족도가 올라갑니다. 하지만, 중장년층의 영양 부족형은 치료하면 할수록 호전과 악화가 반복되는 패턴이 보입니다. 단백질과 지방의 비율이 식단에서 올라가야 하고 운동도 꾸준히 해야 좋아집니다. 이것이 힘들다면 봄·가을로 보약 한 제씩은 먹어야 좋아집니다.

 

 

대사성 질환으로 당뇨가 있을 때 또는 라면과 같은 가공식품의 섭취가 과다할 때 혈액의 산도가 낮아지면서 이를 중화하려는 칼슘이 근육에서 방출되면 팔과 다리에 근육의 경련과 강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대개 충분한 휴식과 영양으로 근육의 회복이 된 상태에서 다시 사용해야 하나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 반복 사용은 근육과 그 주변 조직에 손상을 가져와 근육 경련이 발생할 수 있고 대사성 질환으로 혈액의 산도가 맞지 않을 때 발생할 수 있으며 체내 영양 부족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부 특정 질환의 이차적 증상으로 근육 경련이나 통증이 나타날 수 있어 다른 증상과 종합해 판단해야 하는 근육 경련과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