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탄·화성능동·병점·오산 불면 한의원 : 하루만 못 자도, 몸 ‘세포 단백질’ 변한다.
관련기사 :
하루만 못 자도, 몸 ‘이렇게’ 변한다
ㅣ노르웨이 베르겐대 연구팀, 건강한 여성 8명 임상 ㅣ하루만 못 자도 혈액 내 단백질에 변화 일어나 ㅣ단순한 피로를 넘어서 다양한 병리학적 상태와 관련 있어 단 하룻밤의 수면 부족만으로도
v.daum.net
기사해제 :
단 하룻밤의 수면 부족만으로도 혈액 내 단백질에 중대한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소개합니다.
이 연구 결과(Human serum proteomics reveals a molecular signature after one night of sleep deprivation, 하룻밤의 수면 부족 후 인간 혈청 단백질체가 분자적 특징을 나타낸다)는 국제학술지 ‘슬립 어드밴시스(SLEEP Advances)’에 게재됐습니다.
노르웨이 베르겐 대학교(University of Bergen) 연구팀은 22세에서 57세 사이의 건강한 여성 8명을 대상으로 수면 부족이 혈액 내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습니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의 혈액표본을 두 번 채취했는데, 첫 번째는 참가자들이 22시에 잠들어 6시간 동안 정상적인 잠을 잔 후 채취되었고, 두 번째는 다음날 밤 6시간 동안 수면을 방해를 받은 후 채취되었습니다.
채취된 혈액표본을 분석한 결과, 총 494개의 단백질 중 66개가 수면 부족 후에 변화된 것으로 드러났는데, 발현이 증가한 단백질은 63개, 감소한 단백질은 3개였습니다. 기능적 분석을 통해 이 단백질들이 혈소판 탈과립, 혈액 응고 등 세포 과정의 조절 변화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연구 결과는 수면 부족이 혈액 응고, 혈소판 기능, 지질 및 면역 기능, 세포 증식 등 여러 생물학적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이는 수면 부족이 단순한 피로를 넘어서 다양한 병리학적 상태와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는 수면 부족이 혈액 내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자 수준에서 처음으로 밝혀낸 연구로 수면 부족이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단, 이 연구는 참가자 수가 적었고, 연구 대상이 성인 여성으로만 한정되었다는 점에서 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을 수 있지만, 향후 연구에서는 더 큰 규모의 다양한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수면은 인간이 진화하면서 유전자에 각인된 회복과 재생을 위한 자동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면 체내 단백질의 변성과 기능 정지가 생기면서 회복과 재생이 이루어지지 않아 단순 피로감을 넘어 병에 걸리게 됩니다.
수면 부족으로 생기는 병의 하나가 말초신경염증입니다. 대표적인 질환이 대상포진과 안면신경마비입니다. 몸이 완충할 수 없는 정도로 극도의 스트레스가 장시간 지속하면서 걱정과 고민으로 잠을 이루지 못하고 먹지도 못해 발생합니다. 괴로운 마음을 달래기 위해서 또는 오지 않는 잠에 취해서라도 잠들기 위해서 술이라도 마신다면 중증으로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어느 날 아침에 일어나 물을 마시거나 양치할 때 입에서 흐르는 물을 보고 놀라 내원하거나, 몸이 따갑게 느껴지기를 반복하다가 어느 날 등이나 가슴, 팔로 생기는 붉은 염증과 수포가 시간이 지날수록 옷깃만 스쳐도 따갑고 아파서 자다가 수시로 잠을 깨다 피부과 또는 신경외과에 내원해 알게 됩니다.
건강하게 먹는 것도 중요하지만, 잠을 자는 사람치고 큰 병에 걸리지 않습니다.
말 못 할 고민이나 충격으로 뜬눈으로 지새우는 날이 이어진다면 수면제, 신경안정제, 수면유도제에만 의존하지 말고 본원으로 내원해 몸 상태를 세세하게 확인한 후 그에 맞는 침구치료, 한약치료와 인지행동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앞으로 남은 생을 살아가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